본문 바로가기

전통문양141

전통 디자인 시안 전통 디자인 시안이랍니다. 2015. 10. 13.
생활이 된 아름다운 한국전통문양 - 만자문 너무 익숙해서 가끔 망각하게 되는 우리 전통문양의 아름다움은 과거의 유물이 아닌 생활 속의 지혜랍니다. 떡살, 창호, 놀이개, 이불, 베개, 의류 등 거의 모든 생활용품들에 우리 조상들은 문양을 새겨 넣었지요. 문양을 뺀 생활용품을 상상하면 지나치게 밋밋하다못해 지루한 느낌이 든답니다. 백의민족이라 백성들의 의복은 단순했지만 단순함 속에서 다양함을 찾은 우리 조상들은 생활용품 속에 문양을 통해 나름의 멋을 냈다고 합니다. 현대인들에게도 문양은 디자인, 로고, 엠블럼, 패턴, 마크, 심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생활 속에서 늘 접하고 있습니다. 의식하지 못할 뿐 늘 존재하는 것이지요. 문양은 무늬보다는 더 광의의 개념인데 이 설명까지 풀어내자면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아 여기서 정리하고 오늘의 주제인 생활 속 .. 2015. 3. 23.
하트 일러스트 디자인의 유혹 평소 제 디자인 스타일은 아니지만 필요하면 이런 작업도 진행한답니다.음식도 고루고루 먹어야 하듯이 디자인도 다양한 스타일을 습득하고 제작해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니 늘 노력중입니다. 이게 제 스타일이죠. 뭐든지 문양화 하려는 제 스타일이 온전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건 예전에 그려두었던 하트 디자인. 이번 포스팅에 어울려서 함께 소개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정리하면서 제작한 다양한 하트 일러스트 디자인. 퀄리티보다는 다양한 디자인 스킬을 익히고 적용하는데 중점을 둔 디자인들이죠. 비슷비슷해 보이지만 저마다 다 다르답니다.하트 제작방식이나 꾸밈 등이 다르게 되어 있어 여러 모습으로 탈바꿈도 가능하지요. '해피 발렌타인스 데이' 문구 역시 다양한 폰트를 적용해 보았습니다. 하트 가운데는 장미를 문양화시.. 2015. 3. 13.
한국전통문양 표지편 한국혼을 살린 한국전통문양 표지편 다양한 전통문양 요소들로 시리즈별로 제작중입니다. 2012. 2. 13.
전통문양을 활용한 명함케이스 디자인 한국전통문양 용을 주제로 작업 한글 타이포그래피(중앙에 한글이 떡 하니 그려져 있지요.) 다산과 복의 상징 편복문(박쥐문) 그래도 부족하다 복자문도 추가 인동당초문을 서구스타일로 제작한 후 와당 결합 매화문, 태극문과 다이아몬드 결합한 현대적인 모던 디자인 삼태극, 하회탈, 각시탈을 디지인화 한 명함케이스 디자인 게이샤의 추억이라는 주제로 일본풍(니뽄스타일) 제작 제작 의뢰도 있고 해서 일러스트로 작업한 디자인들입니다. 기존에 작업해 놓은 것을 활용하기도 하고 새롭게 제작한 것도 있지요. 한국전통문양도 어떻게 디자인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상품화시킬 수 있습니다. 초중고생의 수행평가 자료로 사용하는 것은 허락합니다. 그래서 이번 작품은 워터마크도 넣지 않았습니다. 한국전통문양이나 전통문양의 적용 .. 2011. 4. 21.
한국전통문양 방승문양을 아시나요? 한국전통문양을 정리하다가 방승문이라는 다소 생소한 문양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부 서적에는 언급되기도 하지만 그 모양새가 무엇인지 궁금했는데 얼마 전 알게 되어 직접 그려보았습니다. 다소 서구적인 느낌이 강하지만 인동문이나 당초문처럼 우리 문양으로 자리매김한 전통문양입니다. 부르는 것도 제각각이고 모양새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내려지지 않은 문양들이 즐비한데 모양과 표현에 통일을 준 표준 문양용어집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문양용어집이 현재도 있지만 그게 표준이다라는 보장이 없고 해당 용어집과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문양관련 서적도 많아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방승문양의 경우 두 개의 능형(혹은 능화문, 마름모는 능형 마름꽃은 능화문이라고 한답니다.)이 서로 엮인 형태로 중첩된 문양이라고 정의되어 있습.. 2010. 10. 13.